본문 바로가기
순두부의 공부/근골격계 기능해부학

무릎 고관절 햄스트링 통증! 허벅지 안쪽을 보자

by 순딩두부 2023. 3. 1.
반응형

허벅지 안쪽 살이 고민이신 분에게도 이 글이 많이 도움 될 것입니다. 허벅지 안쪽 살을 빼기 위해 많은 분이 허벅지 사이에 책을 끼고 버티는 운동을 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때 힘이 느껴지는 부분에 어떤 근육이 있는지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려 합니다. 오늘은 내측 부위에서 고과절을 모아주는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박근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근육들은 내측에 있기 때문에 내전근, 모음근(adductor)이라고 합니다.

 

내전근을 왜 운동해야 하고 왜 중요할까요? 고관절을 강하게 모아주는 역할도 하지만 사실은 무의식적으로 고관절이 가장 중립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뒤쪽에서 안정화해줄 수 있는 근육입니다. 예를 들어 보행을 할 때, 대퇴뼈와 골반이 고관절을 이룬다고 했는데, 골반이 양옆으로 흔들리면서 걷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외전과 내전이 일어나는데 과하게 외전이 일어나지 않게 붙잡아 주는 역할을 하고, 대부분의 내전근이 무릎 위에 붙어있지만 무릎 밑으로 내려가는 근육도 있습니다. 그래서 무릎을 안정화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떤 근육이 내전근이고, 어떤 근육이 무릎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관절 내전근에 좋은 간단한 운동 방법은 하단에 있습니다.

 

Adductor brevis (단내전근)

짧은모음근. brevis는 짧다는 의미이다.

  • 기시점(origin): 치골 전면(치골가지의 전면)
  • 정지점(insertion): 대퇴골 후면 조선(대퇴골 거친선 측면)
    • 대퇴의 내측의 후면에 부착한다.
    • 대요근과 장골근이 붙었던 소전자, 그 아래 치골근이 붙었던 치골선 그 아래가 단내전근이 붙은 정지점이다.
  • 동작(action)
    • 고관절 내전, 고관절 외회전
      • 안쪽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약간의 외회전이 있다.
    • 고관절 굴곡 보조
      • 정지점은 후면, 기시점은 전면에 위치하므로 기시점으로 끌려가게 되면서 약간의 굴곡을 보조한다.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폐쇄신경 (L3~4)
    • 내전근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신경이다.
    • 영어로는 'Obturator nerve'라고 한다.

 

Adductor longus (장내전근)

긴모음근. 단내전근과 비슷하게 위치하지만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 기시점(origin): 치골능 전면, 치골결합(puic symphysis) 측면
  • 정지점(insertion): 대퇴골 후면 조선(대퇴골 거친선 내측 1/3)
    • 소전자 아래로 치골근, 단내전근이 차례로 붙어있고 그 아래에 장내전근이 붙어있다.
  •  동작(action): 고관절 내전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폐쇄신경 (L3~4)

 

Adductor magnus (대내전근)

큰모음근. magnus는 크다는 의미이다.

  • 기시점(origin): 치골지 전체와 좌골(치골가지 전체의 가장자리와 좌골), 좌골조면
    • 치골의 끝 부위를 커버하고 좌골의 앞부위를 커버해서 치골에 약간 걸쳐있고 좌골에는 조금 더 걸쳐있다.
  • 정지점(insertion): 대퇴골 조선 전체(대퇴골 거친선 전체), 대퇴골 내측상과능선, 내전근 결절
    • 대퇴를 거의 커버하고 살짝 떨어졌다가 다시 대퇴의 내측상과 윗단까지 부착한다.
  • 동작(action): 고관절 내전, 고관절 외회전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폐쇄신경 (L2~4), 좌골신경 (L4~5, S1~3)

전면에서 보면 치골근, 단내전근, 장내전근의 뒤에 위치하고, 후면에서 보면 햄스트링처럼 보이는 근육이다. 제4의 햄스트링이라고 불린다. 이 의미는 고관절이 굴곡되어 있을 때 대내전근을 수축하면 강력한 신전근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또 신전이 강력하게 되었을 때 대내전근을 끌어당기면 고관절 굴곡근의 역할도 한다. 그래서 가끔 운동을 즐기시는 분들에게 햄스트링 파열이 많지만 내전근 파열도 많다.

 

Gracilis (박근)

두덩정강근

  • 기시점(origin): 치골의 하행가지의 전내측 가장자리
    • 치골의 아래를 향한 가지에서 시작한다.
  • 정지점(insertion): 경골 상부 전내측(거위발)
    • 고관절 굴곡근인 봉공근과 정지점이 같은 거위발 정지점이다.
    • 거위발근은 Pes anserine이라고 한다. 총 봉공근, 박근과 다음 포스팅에 나오는 고관절 신전근까지 세 개의 근육이다.
  • 동작(action)
    • 고관절 내전
    • 슬관절 굴곡 보조
    •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슬관절의 내회전 보조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폐쇄신경 (L2~3)

대내전근을 제외한 모든 내전근은 모두 치골에서 기시 한다.

총 네 개의 내전근을 보았는데, 이중 박근만 무릎을 지나는 근육이다. 이 근육은 무릎을 구부리고 앉았을 때 대퇴가 외전된 상태가 되면 무릎에 부하가 많이 실린다. 이때 벌어지지 않게 무의식적으로 무릎을 안쪽으로 모아주며 정렬 상태로 만들어 고관절과 무릎의 안정화를 담당하는 근육이다. 특히 무릎의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근육이다.

박근과 거위발건은 달리기를 할 때 매우 많이 사용되는 근육이기도 하다. 그래서 반복적으로 구부림과 폄을 반복하여 정지점에서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거위발근육염증이다. 

 

 

 

출처: 이파마스터 홍정기 근골격계 기능해부학


순두부의 추천 운동

https://whitecoattrainer.com/blog/adductor-exercises

 

7 Top Adductor Exercises You Can Do At Home [Without Equipment] - The White Coat Trainer

The adductors are important muscles that help stabilize the pelvis and hip joint. Learn how to exercise them at home with this simple guide!

whitecoattrainer.com

 

오늘의 근육 정리

  1. 단내전근(Adductor brevis): 고관절 내전, 고관절 외회전, 고관절 굴곡 보조
  2. 장내전근(Adductor longus): 고관절 내전
  3. 대내전근(Adductor magnus): 고관절 내전, 고관절 외회전
  4. 박근(Gracilis): 고관절 내전, 슬관절 굴곡, 슬관전 굴곡 상태에서 슬관절 내회전 보조

 

 

 

 

"건강한 몸에 건강한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A sound mind in a sound bod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