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두부의 공부/근골격계 기능해부학

손목 근육, 손목 통증 시 알아야 할 원리

by 순딩두부 2023. 2. 23.
반응형
오늘의 포스팅을 보기 전에 아직 손목의 움직임 용어가 익숙하지 않다면 움직임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몸의 움직임 종류

근골격계 기능해부학 첫 포스팅을 시작하며 먼저 생각해 볼까요? 근골격계 기능해부학을 왜 배워야 할까요? 움직임이 잘못된 사람들은 통증으로 연결되어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전

soonding-tofu.tistory.com

 

이번엔 특히 근육의 이름이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근육의 동작을 알 수 있습니다. 예시로 Flexor carpi radialis라는 근육을 보겠습니다. 'Flexor'는 굴곡 또는 구부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arpi'는 수근이라고 합니다. 'radialis'는 요골이므로 모두 조합해 보면, 요골 쪽에서 손목까지 내려가는 굴곡근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그것을 줄여 '요측 수근 굴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하나씩 다른 근육들도 알아보겠습니다.

 

Flexor carpi radialis (요측 수근 굴근)

노쪽손목굽힘근

  • 기시점(origin): 상완골 내측상과
  • 정지점(insertion): 제2, 3 중수골 기저부(중수골의 가장 처음 만나는 부분)
  • 동작(action): 손목의 굴곡, 요골측 편위(외전)
    • 사실상 굴곡과 외전의 중간 움직임이 나오므로 사선으로 움직인다.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정중신경 (C6~7)
    • 정중신경은 손목터널증후군과 관련이 있다.

 

Flexor carpi ulnaris (척측 수근 굴근)

자쪽손목굽힘근

  • 기시점(origin)
    • 상완골두: 상완골 내측상과
    • 척골두: 주두의 내측 경계면, 척골 상부 후면
  • 정지점(insertion): 두상골, 유구골, 제5 중수골 기저부
  • 동작(action): 손목 굴곡, 척골측 편위(내전)
    • 실제로는 굴곡과 내전의 중간 움직임이 나오므로 사선으로 움직인다.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척골신경 (C7~8, T1)
    • 척골을 타고 내려오기 때문에 척골신경의 영향을 받는다.

 

Palmaris longus (장장근)

긴손바닥근. 'Palm-'은 손바닥을 말한다. 그러므로 손바닥을 지나가는 긴 근육이라는 뜻이다.

  • 기시점(origin): 상완골 내측상과
  • 정지점(insertion): 수장건막(손바닥 널힘줄)
    • 기시점에서 내려오며 손목 부위에서는 요골과 척골의 사이로 내려온다.
    • 중수골 부위에 지느러미 모양으로 넓게 막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에 붙는다.
    • 근육처럼 빨간색으로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얇은 힘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붙였을 때 손목을 보면 얇게 내려오는 건이 튀어나와 보인다. 그것이 장장근이다.
    • 하지만 사람마다 굵기가 다르고, 인구의 20~25% 정도는 이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다.
    •  팔꿈치의 인대에 염좌 또는 완전 파열 시 인대를 재건해 주기 위해 장장근의 건을 따서 인대화 시킨다.
  • 동작(action): 손목 굴곡 보조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정중신경 (C7, 8)
    • 요골과 척골의 중앙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손목의 굴곡근인 Flexor carpi radialis(요측 수근 굴근), Flexor carpi ulnaris(척측 수근 굴근), Palmaris longus(장장근) 모두 기시점이 '상완골 내측상과'로 동일하다.

 

Extensor digitorum (수지신근)

손가락폄근. 'digit-'은 마디라는 뜻이다. 수지라는 것은 손가락을 의미하므로 손가락까지 뻗어있는 폄근이라는 뜻이다.

  • 기시점(origin): 상완골의 외측상과
  • 정지점(insertion): 제2~5 지절골 신근건막, 중지절골 저부 배면(중지절골 낮은 부위의 손등을 의미)
    • 2번과 5번은 중수골과 지절골의 첫번째 부위에 붙어있고, 3번과 4번은 말미의 지절골까지 붙어있다. 그런데 이 부위들이 전체적으로 건막으로 형성이 되어 있다. 여기서의 중요한 점은 3번과 4번이 끝마디까지 붙어있다는 것이다.
  • 동작(action): 손목 신전, 제2~5 지절골의 중수지절관절 신전
    • 장장근과 다르게 수지신근은 손가락까지 힘이 들어간다.
    • 지절관절 신전은 손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만 신전하는 것이다.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요골신경 (C6~8)
    • 요골을 타고 내려오기 때문에 요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장요측 수근 신근)

긴노쪽손목폄근. 영어 이름을 그대로 보면 '손목의 요골쪽으로 긴 근육'이라는 의미.

  • 기시점(origin): 상완골의 외측상과, 외측상과융선
  • 정지점(insertion): 제2 중수골 기저부(몸통 쪽이 기저부이다)
  • 동작(action): 손목 신전, 요골측 편위(외전)
    • 이전과 동일하게 신전과 외전의 중간 움직임이 나오므로 사선으로 움직인다.(이름을 보며 움직여보면 쉽다)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요골신경 (C6~7)
    • 요골 쪽에 있는 근육이므로 요골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Extensor carpi ulnaris (척측 수근 신근)

자쪽손목폄근

  • 기시점(origin): 상완골의 외측상과 총지신근건
    • 후방 쪽 외측상과에 부착해 있다.
    • 총지신근건은 외측상과와 근막을 따라간다는 의미이다.
  • 정지점(insertion): 제5 중수골 기저부
    • 손의 측면 즉 손날 쪽에 정지한다.
  • 동작(action): 손목 신전, 척골측 편위(내전)
  • 신경의 지배(innervation): 요골신경 (C6~7)
    • 정지점은 손의 내측이지만 외측상과에서 기시하여 요골신경의 지배를 받는 것이 특징이다.

 

손목의 신전근인 Extensor digitorium(수지신근),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장요측 수근 신근), Extensor carpi ulnaris(척측 수근 신근) 모두 기시점이 '상완골 외측상과'이다.

 

오늘의 근육

  1. 요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손목 굴곡, 요측 편위(외전)
  2.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 손목 굴곡, 척측 편위(내전)
  3. 장장근(Palmaris longus): 손목 굴곡 보조
  4. 수지신근(Extensor digitorium): 손목 신전, 2~5번 손가락 신전(3, 4번 손가락 끝마디까지 신전)
  5. 장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손목 신전, 요측 편위(외전)
  6. 척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ulnaris): 손목 신전, 척측 편위(내전)

 

 

 

 

 

 

 

 

 

출처: 이파마스터 홍정기 근골격계 기능해부학

반응형

댓글